목록Flutter (16)
Learn to share,Share to learn
열심히 살던 내가 보이고 주별로 오답노트를 작성하는 아주 기특한 발상이지만 투병기간동안 작성을 못하기도 했고, 결국 각 내용을 찾아보기 힘들어 카테고리를 세분화해서 작성하는 식으로 방법을 바꿨다. 또한 플러터는 사이드 무기로 챙기고, 코틀린을 메인으로 삼을 생각이였는데, 투병기간을 겪고나니 그럴 시간이 없어져버렸다! ㅋㅋㅋㅋㅋㅋㅋ 지금 내 주무기도 시원찮은데 사이드무기는 챙길시간이 없다 미안하다 ㅠㅠ 플러터야.. 사랑하지만 좀 나중에 보자.. 너는 당분간 취미로 해야할거같아.. 읽다보니 옛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개인적으로 다른분이 주간별 정리 일기를 쓰던데 그정도는 해볼까? 그런데 그렇다 하더라도 다른 게시판을 만들어서 하는게 나을거같다

오늘 회의에 앞서 디자인의 프로토 타입을 작성해보았다. 피그마의 UI템플릿과 dribble을 참고하며 만들어보았는데 색과 관련해서는 좀더 생각해보아야겠다. 프로젝트 시작전 디자인, 로그인, 뼈대까지 다 만들었으니 이정도면... 팀장역할을 잘 하고있는것같다. 9시에 회의를 하며 세부사항은 좀 더 논의하면 좋을듯 메인 화면이다 메인화면은 너무 텅 비어있으면 공허하게 느껴진다. 기존에는 Team Up, 즉 팀원 구하는 부분만 넣으려고 했는데, 뭔가 앱을 키자마자 게시글들만 보이면 느낌이 이상할것같아 다른 요소들도 넣어주었다. 우선 맨 위에는 클릭시 어플의 소개와 이용방법이 나오는 페이지를 보여줄것이다. Team Up 의 경우 스터디 모임 구하기와 팀 구하기가 함께 보여지며, 더보기를 클릭시 세부 화면이 보여질..
이제부터는 아마 개발을 시작할테니 개발기록서로 이름을 바꿔야겠다. BottomTabbar와 메인화면을 간략하게 만들어봤는데, 일단 팀플기록서에 작성해야겠다. 그리고 블로그 작성방식이 좀 마음에 안든다.. 개발한것을 정리하고 돌아보려고 만들었는데 날짜별로 정리하니 일기가되가는것같다 이제부터는 플러터 카테고리와 같이 카테고리로 만들어 깨닫게된부분을 적어야겠다
7월 5일 구현 팀원들이 종강전까진 시간이 나지 않아서 나 혼자 틀을 짜며 좀 만들어봤다. 클린 아키텍쳐를 이용해 기존 코드들을 리팩토링 하고,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해 로그인 기능을 구현했다. 일단은 노션을 이용해 팀 프로젝트의 기획과 역할 분담을 하게 되었고, https://www.notion.so/383afac0e051401e9d8a7c4ae1c13d8d?v=a2ad1aa743b94de6aba548b56680c18d 로드맵 ⛰ Epics 은 구현해야 할 큰 단위(로그인, 커뮤니티, 채팅) 🔨 Tasks 는 구현의 세부사항 각 계획 날짜별로 필요한 구현사항을 To Do 로 옮기고, 구현합니다 www.notion.so 디자인은 피그마를 이용해 만들게 되었다. 팀원들이 코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샘플 코드도 작..

6월 25일 https://www.notion.so/383afac0e051401e9d8a7c4ae1c13d8d?v=a98811f2c91846c9aa11541613e825f6 로드맵 ⛰ Epics 은 구현해야 할 큰 단위(로그인, 커뮤니티, 채팅) 🔨 Tasks 는 구현의 세부사항 각 계획 날짜별로 필요한 구현사항을 To Do 로 옮기고, 구현합니다 www.notion.so 내가 조 구하고 어떤걸 만들지 권유했으니 계획도 내가 제일 잘짜겠지? 그리고 인턴때 한번 해본작업이니까 하는 생각으로 작성해보았다. 아.. 디테일하게 들어가려면 엄청나게 많을수도 있지만 일단은 최소하고 간결하게 꼭필요한 기능만으로 한번 만들어보았는데, JIRA와 다르게 노션은 협업에 올인한 툴이 아니여서 좀 불편하다. 예를 들어 스프린..

6월 22일 치과도 가고.. 뭔가 한건 없는데 벌써 넷째주 인가? 싶다. https://ovenapp.io/view/Vd3KOXuZeCsChstYqsrSZ8CYa9BtWrMW/sf0gV 팀프로젝트를 위해 간단하게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봤다. 일단 오늘은 계속 다른 프로젝트랑 비교하면서 구조 짜는중 6월 25일 https://rogue-one.tistory.com/21 팀프로젝트의 로드맵을 만들었다!! 요즘 가장 중요한 두가지가 코테준비, 팀프로젝트 두가지이다. 코테준비는 틈틈히 알고리즘을 풀어가며 준비를 해야하는데 안하는중이다.. 운동하고 집에와서 밥먹으면 8시 9시인데 너무 피곤해.. 자야해... 프로젝트 준비를 일단 틈틈히 해두는중이다. 내가 PM이자 메인 개발자니까 부족한 모습을 보이지 않아야 믿음이..

6월 14일 클린 아키텍쳐에 대해 최근 계속 공부했는데, 이제 사용법에 대해서 알거같다. 내가 생각했던것과 달리, 플러그인형태로 pub.dev에 오픈소스로 구현이 되어있어, 그부분을 좀 공부를 했다. 공부중 궁금했던 부분이 생겼는데, controller를 통해 refresh UI를 하면, ControlledWidgetBuilder로 구현된 위젯들이 다시 그려진다고(re-rendered)하여 성능상의 문제가 없을지 걱정되었었다. 다행히 report된 issue를 보니 내부적으로 provider를 이용해 구현되어있어 변경된 부분만 바뀌는것이라고 하니 걱정할 필요가 없을것같다. 일단 간단히 틀을 잡아 리팩토링해보았다. 팀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었는데, 간단히 설명을 해보자면, 일단 app아래 컴포넌트는..
6월 9일 상태 관리란? 아키텍쳐를 공부하면서 자주 나오는게 BLOC와 같은 상태 관리 키워드이다. 이것에 대해 공부해야겠다고 느꼈다. https://sambalim.tistory.com/140 상태 관리에 대해 정리해보자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관리가 어려워진 상태들이 생겨났고 이를 위해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다양한 라이브러리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해보는 것이 좋을지 sambalim.tistory.com 간단히 말하자면, 정말 상태를 관리해 주는 역할을 해준다. 상태는 페이지내에서 눈에 보이는 데이터들(ex. 메뉴, 게시글 제목, 게시글 내용)뿐만 아니라 서버와 주고 받아야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이렇게 눈에 보이는 것과 눈에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상태라고 하고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