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lutter/시너지 (6)
Learn to share,Share to learn

오늘 회의에 앞서 디자인의 프로토 타입을 작성해보았다. 피그마의 UI템플릿과 dribble을 참고하며 만들어보았는데 색과 관련해서는 좀더 생각해보아야겠다. 프로젝트 시작전 디자인, 로그인, 뼈대까지 다 만들었으니 이정도면... 팀장역할을 잘 하고있는것같다. 9시에 회의를 하며 세부사항은 좀 더 논의하면 좋을듯 메인 화면이다 메인화면은 너무 텅 비어있으면 공허하게 느껴진다. 기존에는 Team Up, 즉 팀원 구하는 부분만 넣으려고 했는데, 뭔가 앱을 키자마자 게시글들만 보이면 느낌이 이상할것같아 다른 요소들도 넣어주었다. 우선 맨 위에는 클릭시 어플의 소개와 이용방법이 나오는 페이지를 보여줄것이다. Team Up 의 경우 스터디 모임 구하기와 팀 구하기가 함께 보여지며, 더보기를 클릭시 세부 화면이 보여질..
7월 5일 구현 팀원들이 종강전까진 시간이 나지 않아서 나 혼자 틀을 짜며 좀 만들어봤다. 클린 아키텍쳐를 이용해 기존 코드들을 리팩토링 하고,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해 로그인 기능을 구현했다. 일단은 노션을 이용해 팀 프로젝트의 기획과 역할 분담을 하게 되었고, https://www.notion.so/383afac0e051401e9d8a7c4ae1c13d8d?v=a2ad1aa743b94de6aba548b56680c18d 로드맵 ⛰ Epics 은 구현해야 할 큰 단위(로그인, 커뮤니티, 채팅) 🔨 Tasks 는 구현의 세부사항 각 계획 날짜별로 필요한 구현사항을 To Do 로 옮기고, 구현합니다 www.notion.so 디자인은 피그마를 이용해 만들게 되었다. 팀원들이 코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샘플 코드도 작..

6월 25일 https://www.notion.so/383afac0e051401e9d8a7c4ae1c13d8d?v=a98811f2c91846c9aa11541613e825f6 로드맵 ⛰ Epics 은 구현해야 할 큰 단위(로그인, 커뮤니티, 채팅) 🔨 Tasks 는 구현의 세부사항 각 계획 날짜별로 필요한 구현사항을 To Do 로 옮기고, 구현합니다 www.notion.so 내가 조 구하고 어떤걸 만들지 권유했으니 계획도 내가 제일 잘짜겠지? 그리고 인턴때 한번 해본작업이니까 하는 생각으로 작성해보았다. 아.. 디테일하게 들어가려면 엄청나게 많을수도 있지만 일단은 최소하고 간결하게 꼭필요한 기능만으로 한번 만들어보았는데, JIRA와 다르게 노션은 협업에 올인한 툴이 아니여서 좀 불편하다. 예를 들어 스프린..
6월 2일이다. 오늘은 파이어 베이스를 적용한 내 깃허브를 공유해주었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이야기했다. 일단 소스트리를 이용해서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소스트리는 깃허브 사용을 도와주는 비쥬얼 도구? 인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자 https://uxgjs.tistory.com/181 Git GUI 소스트리(SourceTree) 설치방법과 사용방법 멋찐 개발자 같은 경우 검정 화면에 하얀색 글씨로 타이핑을 치며 Git 명령어를 실행시킬텐데요. 그게 멋지긴 하지만 편한 형태는 아닙니다. Git을 좀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 GUI(Graphic User ux.stories.pe.kr 그리고 https://flutterawesome.com/ 과 pub.dev에 대해 공유해주었다. 아무래도..

5월 25일 일단은 기획서를 먼저 작성해봤다. 아직 팀원과 상의는 하지 않고 내가 생각한 주제로 만들어봤다. 1. OTT서비스의 종료 예정작, 공개 예정작을 보여주고, 해당 작품을 클릭하면 기대된다, 혹은 종료전 꼭 보는게 좋다와 같이 댓글을 달수 있는서비스. 나만의 리스트를 만들어 공개되었을시 리스트에 있는 작품들이 공개되었다는 알림을 보내주는 기능도 구현할 예정. 마지막으로 파이어베이스 요금과 공개 예정작을 보여주는 특성상, 오래 리뷰 댓글을 유지할필요가 없다 생각해 약 3주쯤 후 작품 댓글을 파이어베이스에서 삭제하도록 구현 예상 기술 내역: 파어어베이스, 파이어베이스 로그인, 파싱, 유저별 댓글관리 등 현재는 정말 간단하게 만들어봤다. 랭킹 부분은 지울가능성이 있다. 저부분을 최근 공개작으로 만들고..

5월 24일이다 아직 프로젝트명도, 뭘 만들지도, 어떻게 만들지도 정하지 않았다 일단은 사람만 구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성패는 내가 팀장으로서 중심을 잘 잡고 진행하는데 달려있다. 5월 넷째주 회의록 1.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것인가? 2. 디자이너 영입에 관해, 아는 인맥이 있는지 3. Flutter 로 개발을 진행하는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4. 각자의 개발 경험에 대하여 아마 내가 경험이 가장 많을듯 하니, 프레임워크, 디자인패턴, 아키텍쳐에 대해 공부와 적용하고, 플러그인 관련 버전 맞추는것까지 먼저 해둬야 할듯 싶다. 나도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인턴경험이 없었을때는 정말 아무것도 몰랐었으니까.. https://genieker.tistory.com/123 개발자들도 헷갈리는 몇가지 용어들 Fra..